목차
공항 항공기 안전을 위해 25년 3월 1일부터 보조배터리와 전자담배 기내 반입 절차가 바뀌게 됩니다.
여행 갈 때 꼭 필요한 보조배터리를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지와 전자담배 반입 절차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.
기내반입 절차가 시행되면 발권시간이 늘어날 수도 있으니 먼저 준비하시기 바랍니다.
항공기 탑승 시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 절차를 준수해야 합니다.
결론적으로 말씀드리면
보조배터리는 기내 휴대만 가능하며 부치는 짐(위탁수화물)에 넣으시면 안 됩니다.
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보조배터리는 대부분 100Wh 이하 제품입니다.
20,000mAh & 3.7V 제품 기준 약 74Wh 용량입니다.
100Wh 이하 1개 ~ 5개 가능하며 단락방지 조치를 취한 후 몸에 지니기
100Wh 초과 ~ 160Wh 이하 1개~2개까지 항공사에서 승인과 스티커부착 그리고 단락방지 조치를 취해야 함
160Wh 초과 수량 무관하며 반입불가
여행할 때 짐 무게를 최소화하기 위해 보조배터리도 최소한의 용량으로 가지고 다니는데
100Wh 초과되는 보조배터리가 꼭 필요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.
하지만 항공기 안전을 위해 꼭 한번 읽어보시고 즐거운 여행 되시길 바랍니다.
위에 언급돼 있듯이 단락방지 조치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.
보조배터리에 문제가 생겼을 때 안전사고 방지를 위해 필요한 조치라고 생각합니다.
그림에서 보듯이 보조배터리를 비닐봉지나 파우치에 보관하고
단자에 테이프를 붙이고 단자 보호용 캡을 부착하는 방법입니다.
위 세 가지 방법 중에서 편리한 방법으로 사용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.
액체류 팩에 넣듯이 보조배터리도 이제는 비닐팩에 넣어 항공기 탑승해야 될 듯합니다.
보조배터리를 기내에 갖고 타려면 이제는 기내반입 절차를 꼭 거치셔야 합니다.
이러한 절차가 진행되려면 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.
그러므로 3월 이후 여행을 계획 중이시라면 공항에 좀 더 일찍 도착하셔야 되겠네요
발권카운터에서 먼저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.
현재는 보조배터리가 수화물에 있느냐 아니면 가지고 있느냐만 확인했는데
3월 1일부터는 항공사 승인을 꼭 받아야 합니다.
승인을 받게 되면 단락방지 조치가 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스티커를 붙여줍니다.
승인 스티커 부착이 확인되지 않으면 반입이 안되니 꼭 승인 스티커를 붙여주세요.
기내에 탑승할 때는 몸에 지니거나 좌석 앞 주머니에 보관하고 기내 선반에 올려두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.
이점 유의하셔서 안전한 여행 되시기 바랍니다.
그 외에도 보조배터리 기내 관리 및 대응 수칙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1. 보관방법: 몸에 지니거나 좌석 앞주머니에 보관하기(기내선반 보관 금지)
2. 사용방법: 기내 사용 이외에는 보관 시 단락방지 상태 계속 유지하기
3. 주의사항: 외부 충격, 압력을 가하지 않도록 주의하기(보조배터리에 충전 금지)
4. 대응수칙: 과열되거나 부풀어 오르면 즉시 승무원에게 알리기